본문 바로가기
industry/국내기업산업분석

제약사의 QC 직군: 이화학QC, 미생물QC

by Peter Choi 2025. 11. 11.
반응형

제약사의 품질관리(QC) 직무 중 이화학 QC미생물 QC는 검사 대상과 목적에 따라 명확히 구분됩니다.

🧪 이화학 QC (Physical/Chemical Quality Control)

이화학 QC는 주로 화학적 특성 및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여 의약품의 품질을 관리합니다.

  • 주요 업무:
    • 원료/자재 및 제품 관리: 원료, 부자재, 반제품, 완제품의 순도, 함량, 용출, 성상(외관), pH, 수분, 점도 등 화학적·물리적 특성을 시험합니다.
    • 안정성 시험: 장기간 보관 시 의약품의 효능과 품질이 유지되는지 확인합니다 (유효기간 설정 근거).
    • 분석 장비 사용: HPLC, GC, UV/Vis 분광광도계 등 다양한 정밀 분석 장비를 사용하여 시험을 수행합니다.

🦠 미생물 QC (Microbiological Quality Control)

미생물 QC는 주로 미생물 오염 여부와 그 수준을 확인하여 안전성을 관리합니다.

  • 주요 업무:
    • 미생물 시험: 원료, 제조용수, 완제품에 유해한 미생물이 포함되어 있는지, 그 수준이 허용 기준 이내인지 시험합니다 (무균시험, 미생물 한도시험 등).
    • 환경 모니터링 (Environmental Monitoring, EM): 제조 공정 환경(클린룸 공기, 표면, 작업자 손 등)의 미생물 오염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관리하여 오염을 예방합니다.
    • 독성 시험: 엔도톡신(세균에서 유래된 독소) 검사 등을 통해 안전성을 확보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