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rtpolio/KSEB AI project34 KSEB 3기 07.04 신재생 에너지 생산량 예측 및 시각화 플랫폼의 UI 스케치(대충...)신재생 에너지 중에서도 태양광이 거의 절대다수를 차지함 (서울, 인천 등의 6개 광역지자체를 제외) 기상청에서 이미 구축한 기상기후 빅데이터 플랫폼인 날씨마루를 참고https://bd.kma.go.kr/kma2020/svc/main.do 기상청 날씨마루 - 기상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및 기상융합서비스 bd.kma.go.kr 이미지 데이터 등을 확인할 때는 ai허브를 이용하는 것도 유용하다. 2024. 7. 5. KSEB 3기 07.03 태양광 발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일사량이며 단위는 대개 W/m²로 사용한다. W는 단위면적 당 일(J)의 순간값을 의미한다. J은 일의 단위이며 W는 초당 일의 순간값이다. 태양광 설비의 용량은 MW라는 10^9*W 단위로 표현한다. 2024. 7. 5. KSEB 3기 07.02 지라의 요금제 차이구분FreeStandardPremium추천 사용자프로젝트 정보 및결정을 기록하는 소규모 팀용협업 및 지식 공유를 위한성장하는 팀용고급 콘텐츠 제어를 통해확장하는 조직용이용료10명까지 $0사용자당 $5사용자당 $10저장용량2GB250GB무제한기술 지원 ❌ ⭕️⭕️Team Calendars(JIRA 연동)❌❌⭕️ 지라는 데스크탑 앱보다는 웹으로 접근하는 방법이 훨씬 편리 2024. 7. 5. KSEB 3기 07.01 팀 빌딩 및 역할 분담주제: 지역별, 연도별 에너지 소비량 데이터를 통해 앞으로의 사용량을 예측한다. 이후 기상청의 통계 자료를 이용하여 지역별, 연도별 전체 에너지 발전량과 신재생 에너지 발전량을 예측하여 전체 발전량 대비 신재생 에너지 발전량의 효율성을 평가하고, 신재생 에너지 생산 효율을 극대화하는 지역별 에너지 발전소를 추천한다. 2024. 7. 2.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