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자열이란
보통
char var[size] = “abcde fgh”;
이러한 방법으로 선언된다.
char* gets(char* buffer);
// 에러가 발생하면 NULL을 반환한다
gets() 함수는 인자와 반환형 모두 char* 자료형이다.
char* fgets(char* str, int num, FILE* stream);
//1번 인자는 문자열을 저장할 char 배열을 가리키는 포인터
//2번 인자는 읽어들일 최대 문자 수
//3번 인자는 문자열을 읽어들일 스트림의 file 객체를 가리키는 포인터
//리턴값은 str이다
//결과를 "\n"이 나올 때까지 string에 저장하고, 스트링 끝에 "\0"을 추가한다
//읽은 문자 수가 n - 1일때까지 문자를 읽는다
char* gets_s(char* str);
//1번 인자는 문자열을 저장할 char 배열을 가리키는 포인터
//리턴값은 str이다
//개행문자도 문자열에 포함시킨다
char* gets_s(char* str);
//1번 인자는 형식 문자열이다
//읽어들인 인자의 개수를 리턴한다
문자 출력에서는 다음과 같은 함수를 사용한다
int puts(const char* str);
//1번 인자는 문자열이다
//리턴값은 오류가 없을 시 정수인 0을 리턴함
//별도로 입력하지 않아도 개행문자를 출력함
int fputs(const char* str, FILE* stream);
//1번 인자는 스트림에 쓰여질 문자들의 배열을 가리키는 포인터
//2번 인자는 문자열을 쓸 스트림의 file 객체를 가리키는 포인터
//리턴값은 쓰기가 성공한다면 음이 아닌 정수인 0이 리턴된다
int printf(const char* format,...);
//1번 인자는 형식 태그
//리턴값은 성공하면 출력된 전체 문자의 개수가 리턴된다 실패하면 음수가 리턴됨
char *strstr(const char *s1, const str *s2);
//
//
char* strncpy(char* dest, const char* source, size_t);
//dest를 리턴함
//dest => 문자열이 복사될 곳, source => 복사될 C 문자열, size_t => source에서 복사되는 사이즈
int strcmp(const char* str1, const char* str2);
//두 문자열에 따라 정수를 리턴함
//일치하면 0을, str1>str2 => 0보다 큰 값, 아니면 음수 리턴
//인자 두 개는 모두 C 문자열
반응형
'programming language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언어] 13강 파일 입출력 (0) | 2023.02.22 |
---|---|
[C언어]12강 기억 클래스, 연결, 메모리 관리 (0) | 2023.02.17 |
[C언어]10강 포인터와 배열 (0) | 2023.02.10 |
[C언어] 9강 함수 (0) | 2023.02.10 |
[C언어] 7, 8장: if-switch문, 문자 입출력 (0) | 2023.02.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