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번에 소개할 제품은 구글의 온라인 ide인 google idx입니다.
idx에는 AI 코딩 도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구글 클라우드의 저장 공간 하에서 코드가 저장이 되고 실행이 됩니다. 사실 이런 구조는 처음 있는 것이 아니죠. 전에 포스팅한 글에서 소개했듯이 구글 코랩 등의 툴들도 온라인에서 네트워트를 기반으로 운영이 되는 컴파일러 서버 기반 작업입니다.
아무튼 한번 만들어 보는 과정을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파이어베이스 스튜디오로 들어가라는 안내가 뜨네요. 버튼을 눌러줍시다.
파이어베이스 스튜디오의 일부인 것 같네요.
파이어베이스 스튜디오 역시 구글의 AI 기반 앱 프로토타입 서비스입니다. 아마 파이어베이스로 통합이 된 것 같네요. 커서와 같은 프로그램인 것 같습니다.
바이브 코딩을 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 역시 이제는 피하지 못할 시대의 흐름입니다. 익혀둘 필요가 있다고 보이네요.
반응형
'Portpolio > webdev_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25년 7월 최신)라즈베리파이 4b에 APM 서버 구축하기 (0) | 2025.07.13 |
---|---|
구글 Gemini 15개월 무료로 이용하기(대학생 인증) (0) | 2025.06.11 |
[git]pull = fetch + merge (0) | 2025.06.05 |
2025년 4월 proton wireguard로 dmm 지역락 풀기 (0) | 2025.04.10 |
노션 학교 계정으로 무제한 사용하기 (0) | 2025.04.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