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로 산업의 비율이나 포트폴리오의 구성을 시각화할 때 여러 개의 사각형을 붙여놓은 듯한 차트가 자주 보입니다. 이러한 차트를 트리맵 차트라고 합니다.
위와 같이 산업군별로 비중이 큰 기업부터 주가의 등락폭을 큰 크기의 사각형으로 나타내는 사례로 알 수 있죠.
이러한 차트를 만드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만, 파이썬과 코랩을 이용해서 만드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https://github.com/laserson/squarify
공식 깃허브 주소입니다.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참고로 저는 홍콩의 산업별 분포를 나타내었습니다.
!pip install squarify
#폰트 다운로드 및 깨짐 설정
!sudo apt-get install -y fonts-nanum
!sudo fc-cache -fv
!rm ~/.cache/matplotlib -rf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plt.rc('font', family='NanumBarunGothic')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import squarify
# Data for the treemap
labels = ['무역 및 물류업', '금융 서비스업', '전문 서비스 및 비즈니스 지원업', '관광업', '기타 산업']
sizes = [21.5, 18.9, 12.2, 4.5, 42.9]
# Combine labels with sizes
labels_with_sizes = [f'{label}\n({size}%)' for label, size in zip(labels, sizes)]
# Colors for the treemap
colors = ['#ff9999','#66b3ff','#99ff99','#ffcc99','#c2c2f0']
# Create the treemap
plt.figure(figsize=(12, 8))
squarify.plot(sizes=sizes, label=labels_with_sizes, color=colors, alpha=0.8, bar_kwargs={'linewidth': 5, 'edgecolor': 'white'})
plt.title('홍콩의 산업별 비율 (2023년 기준)')
plt.axis('off')
# Save the treemap as an image file
plt.savefig("hongkong_industry_treemap.png")
# Display the treemap
plt.show()
이렇게 결과물이 나오게 됩니다. 섹터별 간격이나 두 줄 쓰기등은 위의 코드에서 추가적으로 파라미터를 추가한 부분입니다.
반응형
'industry > 해외기업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의 지역별 이름과 전력산업 (0) | 2025.01.30 |
---|---|
2023 로봇산업 국가별 규모 (0) | 2025.01.28 |
동남아발 해외취업 사기 주의 (0) | 2025.01.26 |
국제 3대 석유는 어떤 특징이 있는가 (0) | 2025.01.18 |
제조업에서의 실기(失期)는 무엇인가 (0) | 2025.01.14 |
댓글